본문 바로가기
간호사 라이프

돌아기 두유 /두유 성조숙증 유발 관계

by 날아라마미 2020. 8. 14.
반응형

아이가 턱에 도돌도돌 땀띠같기도 한것이 붉게 일어나더니 없어지질 않는다. 최근 분유를 끊고 우유를 먹이면서 생긴것 같다. 나름 멸균우유로 먼저 시작한건데도 반응이 올라왔다. 생우유, 염소우유로 바꿔봐도 없어지지 않았다.

그러면 두유를 먹여볼까 생각에 삼육아기두유를 주문해 먹이니 잘 먹는다(달달하다)
요며칠 살펴보니 두드러기가 들어갔다. 턱에서 거부 반응이 있었나보다. 어차피 분유도 우유성분인데 신기하다.
어쨋든 두유를 쭉 먹이려 마음 먹었는데, 두유먹이는걸 보더니 특히나 여자애를 왜 두유를 먹이냐고 성조숙증 유발된다고 하는거 모르냐는 소릴 들었다 한다.
음... 들어는 본것 같은데
사실 정말????이런 마음이긴 하지만 조사를 좀 해보자 그럼!

대만 여행갔을때 아침에 두유음료 사서 먹는 수많은 사람들을 보며 오호 꽤나 건강식이라고 생각했는데 이런반전이.... 거기서 팔던 두유는 정말 콩물. 아침에 막 갈아서 만든 따뜻하고 소금간만 된 맑은 두유 음료들이었다.

그렇게 매일먹던데 다들 그럼 성조숙증 많이 걸리는건가?

성조숙증(precocious puberty) :8세미만 여아, 9세미만 남아에게서 사춘기 현상이 발생하는 증상 이라고 한다

 

 


원인

유전적 요인/ 영양상태
유전적 요인이 70~80% 엄마나 아빠가 사춘기가 빨랐다면 아이 역시 사춘기가 빨리 올 가능성이 높다.

소아비만은 성호르몬의 분비를 활발하게 하기 때문에 성조숙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성인비만으로 이어져 고지혈증, 고협압, 당노병 등의 합병증의 위험도 높아진다.

두유 성조숙증의 논란은
콩에 함유된 식물성 에스트로겐 성분 때문이다.
이 에스트로겐이 '이소플라본'이라는 여성호르몬과 비슷한 작용을 한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생리전증후군 폐경등 호르몬 불균형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논란을 두고 콩섭취 자체만으로 멀쩡하던 아이가 성조숙증이 걸리지는 않는다고 많은 연구발표가 있다. 최근 쥐를 이용한 실험에서는 소아의 칼슘흡수를 돕고 남자의 생식 기능에 오히려 도움이 된다고 한다. 아직 여성호르몬이 분비되지 않은 아이에게는 상관이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성조숙증에 노출된 아이들은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적절한 제한을 두고 섭취해야 한다고 한다.

 

콩을 먹으면 나중에 나이들의 오히려 유방암의 발생을 낮춘다고 한다. 또 폐경 후의 여성에게는 에스트로겐이 모자라서 폐경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콩의 이소플라본이 에스트로겐 역할을 하면서 갱년기 증상을 완화시키기도 한다고 한다.

 

미국의 국립보건원 연구로 '유방암과 환경연구프로그램'에서는 1200명의 여자아이들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콩을 많이 먹은 여자아이들의 초경이 더 늦었다고 보고를 했다. 일부 동물실험에서 콩이 아닌 이소플라본을 동물들에게 주어서 사춘기를 앞당겼다는 연구가 있었지만 사람의 경우에는 반대로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또한 어린이들을 1년동안 점심에 과일쥬스랑 대두단백 보충제를 먹여서 실험을 했을 경우 생리 시작일에는 차이가 없었고 오히려 콩단백을 먹은 아이들이 영양상태가 우수했다고 한다.


성조숙증 자가진단
-부모중 사춘기를 일찍 겪은사람이 있다
-또래에 비해 키가 크다
-비만이 있다
-여아는 8세미안에 가슴멍울이 있다
-남아는 9세 미만에 고환이 발달한다
-이른나이에 체모가 발달한다.

아이에게 어떻게 먹일지는 부모가 결정한다. 나는 내아이에게 콩과 두유를 충분히 섭취하기로 결정을 내렸다.








반응형

'간호사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스텐 에어프라이어 비교  (0) 2020.10.21
좋은 쌀 고르기  (0) 2020.10.12
리큅 오쿠 스텐 식품건조기 비교  (0) 2020.08.13
이유식 그릇 비교  (0) 2020.08.11
돌아기 유아식 시작  (0) 2020.07.29